[공공투데이 세종=이재현 기자] 전세사기 피해자가 이용할 수 있는 대환 대출 취급 은행이 이달 안에 5대 은행으로 확대된다.
![서울 중구 우리은행 본점에서 한 시민이 전세자금 대출 상담을 받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1]](/news/photo/202305/68057_58383_5357.jpg)
국토교통부는 15일부터 국민은행과 신한은행에서도 대환 대출 업무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대환 대출’은 전세사기 피해 임차인이 기존 전셋집에 계속 거주하는 경우 낮은 금리의 기금 대출로 갈아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상품이다.
연소득 7000만원(부부합산) 및 보증금 3억원 이하인 임차인의 주택금융공사(HF) 보증서 전세대출이 지원대상이다.
당초 대환대출은 5월 출시 예정이었으나 지난달 24일 전산개편이 완료된 우리은행부터 조기 출시해 운영하고 있다.
이달 19일에는 하나은행, 26일에는 NH농협은행으로 취급은행이 확대된다.
대출한도는 2억 4000만원(보증금의 80% 이내)이며 연 소득과 주택 보증금에 따라 연 1.2∼2.1%의 금리가 적용된다.
전세 계약 기간 만료 전 주택 경매가 시작됐더라도, 임차인이 배당을 요구하고 임차권 등기 등의 요건을 충족했다면 대환 대출이 가능하다.
자세한 사항은 각 은행별 대표번호 또는 전세피해지원센터(☎ 1533-8119)에서 안내받을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서울보증보험(SGI) 보증서 전세대출 대환도 당초 밝힌 7월보다 앞당겨 출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이재현 기자
저작권자 © 공공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공공투데이는 인터넷신문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공공투데이는 인터넷신문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당신의 눈과 귀가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제보가 사회를 변화 시킬수 있습니다"
공공투데이는 당신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제보: [기사제보] 여기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