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투데이 세종=김민호 기자] 국내 거주 외국인이 226만 명으로 역대 최대규모다.
행정안전부가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2022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에 따르면, 2022년 11월 기준 3개월 초과 국내 장기 거주 외국인주민 수는 총 225만 8248명으로 전년 대비 12만 3679명 증가해, 총인구 대비 4.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장 많은 인원이 집계된 2019년보다 4만 명 증가한 규모로, 코로나19로 인한 외국인주민 감소세가 멈추고 가파르게 반등하는 추세로 돌아섰다.

특히 전년 대비 유학생이 3만 2790명, 외국국적동포가 2만 9000명 증가해 전체 외국인주민 증가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통계 유형별로 전년 대비 증가세와 인구를 살펴보면, 한국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가 10만 2379명 증가해 175만 2346명, 한국국적을 취득한 자가 1만 2945명 증가해 22만 3825명, 국내출생한 외국인주민 자녀가 8355명 증가해 28만 2077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한국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의 세부유형을 살펴보면, 소폭 증가세를 보인 외국인근로자는 7964명, 결혼이민자는 1124명 증가해 각 40만 3139명, 17만 5756명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학생은 3만 2790명 증가한 18만 9397명으로, 결혼이민자 수 17만 5756명을 처음으로 앞질렀으며,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는 외국국적동포는 39만 7581명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 들여다보면, 전국 17개 모든 시도에서 외국인주민이 증가했는데, 특히 경기, 서울, 인천 순으로 증가했으며, 전체 외국인주민의 59.4%인 134만 681명이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주민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시군구는 안산, 수원, 시흥, 화성, 부천 순으로 상위 5개 지역이 모두 경기도에 해당된다.
외국인주민 1만 명 이상 또는 인구 대비 5% 이상 거주하는 '외국인주민 집중거주지역'은 지난해 대비 11개 지역 늘어난 97개이며, 시도별로 경기 23개, 서울 17개, 경북 9개, 경남 9개, 충남 8개 지역 등이다.
안승대 지방행정국장은 "기존의 취업이민 중심의 이민, 사회통합 정책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영역의 사회통합 정책을 통해 외국인주민이 우리사회의 주요한 구성원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관계부처,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김민호 기자
공공투데이는 인터넷신문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당신의 눈과 귀가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제보가 사회를 변화 시킬수 있습니다"
공공투데이는 당신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제보: [기사제보] 여기 클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