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 7~8월보다 9월에 더 발생···선선해져도 주의 필요
상태바
식중독, 7~8월보다 9월에 더 발생···선선해져도 주의 필요
  • 이다솜 기자
  • 승인 2024.08.23 08: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공투데이 청주=이다솜 기자] 지난해 식중독이 7, 8월보다 9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23년 식중독 발생 현황'을 22일 발표했다.

2023년 월별 식중독 발생 추이 [사진=식약처]
2023년 월별 식중독 발생 추이 [사진=식약처]

지난해 식중독 발생 건수는 359건, 환자수는 8789명으로 나타났으며, 코로나19 유행 시기와 비교했을 때 평균 발생 건수는 약 1.5배, 환자수는 약 2배 이상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코로나19 유행 기간에는 손 씻기 등 개인 위생관리를 철저히 하고 외부 활동이 감소함에 따라 2020년 식중독 발생 건수는 역대 최저수준이었으나, 코로나 엔데믹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지난해 식중독 발생 건수는 코로나19 이전 수준만큼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월별 식중독 발생 추이를 살펴보면 기온이 높은 여름철에 주로 발생했고 전체의 33.7%를 차지했다. 특히 7, 8월보다 9월에 43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는 9월은 낮에 식중독이 발생할 만큼 기온이 상승하지만 아침과 저녁 다소 선선한 날씨로 인해 상온에 식품을 보관하는 등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 식중독이 많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했다.

작년 23년 식중독이 가장 많이 발생한 시설은 음식점 200건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학교 외 집단급식소에서 47건, 학교 21건 순으로 식중독이 많이 발생했다.

특히 야외활동 증가로 인해 음식점 등에서 조리한 도시락, 대량 조리 배달음식에 의한 식중독 발생이 증가했으며, 예식장 등 뷔페에서 식중독이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 발생한 식중독의 원인 병원체는 노로바이러스 62건, 살모넬라 48건, 병원성대장균 46건 순으로 나타났다.

노로바이러스는 오염된 생굴 또는 지하수 등을 섭취했을 때 발생하거나 감염된 환자의 분변이나 구토물, 오염된 손 등 사람 간 접촉으로 전파되므로 익혀먹기, 개인위생 관리가 중요하다.

살모넬라 식중독은 오염된 달걀껍질에서 다른 식품으로 살모넬라균이 교차오염이 될 수 있으므로 달걀을 만진 후에는 반드시 세정제 등을 사용해 손을 깨끗이 씻어야 한다.

또한, 병원성대장균 식중독은 가열조리 없이 섭취하는 생채소나 육류에서 많이 발생하므로 채소류는 염소 소독액에 5분간 담근 후 수돗물로 3회 이상 세척해 섭취하는 것이 좋고, 육류는 중심온도 75℃, 1분 이상 충분히 가열해 조리해야 한다.

식약처는 8월 하순까지도 폭염이 어어질 수 있다는 전망에 따라 손씻기, 익혀먹기 등 식중독 예방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식약처는 식중독 발생 현황 분석을 통해 위생 취약 시설에 대한 식중독 예방 교육·홍보 및 점검을 강화하는 등 국민의 안전하고 건강한 식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다솜 기자

'당신의 눈과 귀가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제보가 사회를 변화 시킬수 있습니다"
공공투데이는 당신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제보: [기사제보] 여기 클릭 !!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골라보는 기자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