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의 독립운동가, 장매성-박옥련-박현숙-장경례 선생 선정
상태바
5월의 독립운동가, 장매성-박옥련-박현숙-장경례 선생 선정
  • 이재현 기자
  • 승인 2021.04.30 15: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공공투데이 세종=이재현 기자]국가보훈처는광복회,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장매성(1911~1993)-박옥련(1914~2004)-박현숙(1914~1981)-장경례(1913~1997) 선생을 5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네 명의 선생은 1928년에 여성 항일운동단체로 비밀결사인 ‘소녀회’를 결성해 1929년 광주학생운동에 참여해 활동한 주요 인물들이다.

1928년 11월에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에 다니던 장매성, 박옥련, 장경례 등이 중심이 되어 광주사범학교 뒷산에 올라 여성 항일운동단체인 소녀회를 조직했고, 이듬해인 1929년 5월에는 장매성의 집에서 박현숙 등이 소녀회에 가입했다.

[사진=국가보훈처]
[사진=국가보훈처]

소녀회는 "여성을 남성의 압박에서, 한국인을 일본의 압박에서, 무산대중을 자본계급의 압박으로부터 해방시켜야 한다"라고 주장하며 여성 해방, 민족 해방, 계급 해방을 지향했다.

또한, 독서회 회원들이 만든 연합 단체인 ‘학생소비조합’이 출범할 때 30원을 출자하는 등 남학생들이 주도하는 독서회와 연대 활동도 펼쳤다.

특히, 1929년 11월 3일 광주역 앞에서 한국인과 일본인 학생 간에 충돌인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났을 때, 소녀회원들은 '붕대와 도포약을 가지고 뛰어와 부상 학생을 치료하는 한편, 한 손에 두 개의 물 주전자를 들고 다니면서 열광적인 구호에 타는 목을 축여주는 역할'을 수행했다.

1929년 12월 초에 들어와 서울에서는 학생 비밀결사조직인 각 학교 독서회가 주도로 광주의 학생운동을 지지하는 동맹휴학이 잇달아 일어났고, 동맹휴학과 시위가 계속되자 조선총독부는 12월 13일 조기 방학을 단행했다.

1930년 1월 8일 개학과 동시에 2학기 시험을 치르게 된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등에서 구속 학생의 석방을 주장하며 시험을 거부하고 백지 답안지를 제출하는 ‘백지동맹사건’이 일어났다.

이어서 1월 15일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 학생 12명이 경찰에 검거되는 사건이 일어났는데, 이 중 11명이 소녀회 사건의 연루자였다.

학교 당국은 강경으로 대응했고, 바로 학교 문을 닫고 백지동맹 관련자들을 무기정학 처분했다. 아울러 소녀회 및 백지동맹사건 연루된 20여 명 학생의 부모를 불러 퇴학을 종용했다.

결국 박현숙은 1930년 1월에, 장매성, 박옥련, 장경례는 1930년 3월에 학교를 그만둘 수밖에 없었다.

소녀회는 일본 경찰이 광주학생운동 관련자들을 취조하는 과정에서 독서회가 드러나면서 함께 발각되었고, 소녀회 관련자 11명은 검거된 지 9개월 만에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재판을 받았다.

재판은 광주지방법원이 생긴 이후 최초의 치안유지법 위반 사건이고, 광주학생운동이 발단이 되어 발견된 비밀결사 사건으로 언론에서도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

10월 6일에 열린 1심 공판에서 검사의 구형대로 장매성은 징역 2년의 실형을 받았고, 그외 10명의 여학생은 징역 1년, 집행유예 5년형을 선고받았다.

하지만, 11명 전원 1심의 판결에 불복해 항소를 제기하지는 않았고, 장매성은 1년 2개월 14일의 옥고를 치르고 1932년 1월 22일에 가석방됐다.

그리고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를 그만두어야 했던 소녀회 회원들은 광복 이후 광주여자고등보통학교의 후신인 전남여자고등학교로부터 명예 졸업장을 받았다.

정부에서는 선생들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장매성-박옥련-박현숙-장경례 선생에게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각각 수여 추서했다.

/이재현 기자

'당신의 눈과 귀가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제보가 사회를 변화 시킬수 있습니다"
공공투데이는 당신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제보: [기사제보] 여기 클릭 !!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골라보는 기자거리